Table of Contents
왜 ‘제목’과 ‘요약’이 중요한가#
- 첫 3초 가늠자 읽을지 말지, 다시 찾을지 말지를 결정하는 가장 빠른 스캐닝 지점이다.
- 검색·링크의 기준점 파일·태그가 아무리 많아도 제목이 모호하면 검색 노이즈가 급증한다.
- 기억·복습의 앵커 뇌는 ‘라벨’로 정보를 압축해 저장한다. 제목과 요약이 곧 기억의 핀이다.
제목(Title)을 쓰는 5-단계 체크리스트 ― C.L.E.A.R 법칙#
- Concise (간결) : 10단어·60byte 이내를 권장.
- Loaded with keywords(키워드 포함) : 앞으로 검색할 단어를 반드시 삽입.
- Exact (구체) : “마케팅 회의” ×, “2025-06-21_신제품_런칭_2차_마케팅_회의” ○
- Actionable or Result(행동·결과) : “리서치 계획” 대신 “시장 리서치 계획 _초안”
- Referable (중복 회피) : 동일 주제 노트와 구별되도록 고유 식별자(날짜·버전·번호) 추가
Tip) Obsidian이라면 YYYY-MM-DD_주제_키워드 같은 파일명과
# Title 헤더를 동일하게 두어 파일 & 화면 구분을 일치시키면 헷갈림이 줄어든다.
요약(Summary) 작성 공식 ― 3 S 패턴#
| S | 내용 | 분량 가이드 |
|---|---|---|
| Sentence | 15-25자 한 문장으로 ‘무엇이 핵심인가’ | 1 줄 |
| Snapshot | 숫자·키워드 중심 핵심 정보 | 3-5 불릿 |
| Signpost | 후속 행동·연결 노트 링크 | 1-3 불릿 |
콜아웃 활용 예 (Obsidian 기준)
> [!abstract] TL;DR
> • 10월 15일 출시 확정, 예산 1억
> • TV·SNS 2채널 동시 집행
> • 다음 회의: 7월 3일, 광고 시안 검토
현장에서 바로 쓰는 템플릿#
---
aliases: ["신제품 2차 마케팅 회의"]
tags: [회의, 마케팅, 런칭]
summary: 10월 15일 출시·예산 1억·SNS/TV 병행
---
# 2025-06-21_신제품_런칭_2차_마케팅_회의
> [!abstract] TL;DR
> • 출시 D-115: 10/15 확정
> • 마케팅 예산 1억, 매체=TV+SNS
> • 액션: ①광고 시안 7/3 까지, ②인플루언서 계약 초안
## 안건
1. 일정 최종 확정 …
- 제목 = 파일명 = H1
- YAML
summary는 플러그인(QuickAdd, Dataview)으로 한눈에 목록화 가능 abstract콜아웃은 모바일에서도 접힘/펼침으로 가독성 ↑
잘못된 사례 vs 개선 예시#
| 구분 | 나쁜 예 | 좋은 예 |
|---|---|---|
| 강의 노트 제목 | “3주차 강의” | “23-03-15_유체역학_베르누이방정식” |
| 블로그 초안 제목 | “노트 정리” | “한눈에 정리하는 코넬 노트법 4단계” |
| 요약 | “대충 이런 내용” | “킬러포인트 3가지 + 다음 액션 2개” |
실전 운영 루틴#
- 기록 직후 3분 투자 → 제목·요약 완성 (늦어질수록 세부 기억이 사라져 품질 급락)
- 주간(Weekly) 리뷰에서 요약만 훑어 과거 노트 재탐색
- 중요 프로젝트는 ‘Index 노트(MOC)’를 만들어 요약 부분만
![[노트링크^블록ID]]트랜스클루전으로 모으면 대시보드 완성 - 글쓰기·보고서 작성 시 키워드 검색 → 요약 훑기 → 원문 점프 (요약이 있는 노트가 자료 조사 속도를 2-3배 단축)
핵심 한 줄#
“읽는 사람이 3초 만에 ‘무엇·왜·어떻게’를 파악할 수 있도록, 제목은 C.L.E.A.R, 요약은 3 S 패턴으로 습관화하라.”
Read other posts